벼르고 벼르다 갤럭시 노트3의 롤리팝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사실 갤럭시 노트3 해외판(이하 N9005)의 롤리팝 펌웨어는 지난해 말에 유출된 바가 있다. XDA의 개발자 포럼에는 이미 유출 펌웨어를 기반으로 한 갖가지 커스텀롬이 업로드 되어 있어 개발자들의 좋은 테스트보드가 되고 있다. 나도 친구의 뽐뿌 덕분에 커스텀롬을 올려볼까 했지만 '유출판'이라는 께름칙함으로 미루고 있었다. 그러던 중 1월 말 ~ 2월 초, 삼모바일(http://www.sammobile.com)에서 N9005의 롤리팝 순정 펌웨어가 업데이트 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나의 N9005 롤리팝 업데이틀 가로막고 있던, '유출'에 대한 장벽이 '순정'이 나타나면서 무너지게 되었다.
하지만 곧 새로운 고민에 빠졌다. 현재 내가 갖고 있는 기기의 CSC코드는 UAE(XSI)였다. 이번에 업로드 된 순정펌은 Poland(XEO)를 필두로 한 유럽지역 펌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던 중, 모 블로그에서 CSC를 변경할 수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그 절차대로 진행했다.
#0. 사전 작업 및 주의사항
과정 중 데이터가 손실될 우려가 있어보였다. 정상적으로 펌웨어가 올라가더라도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공장초기화 과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되었다. KIES3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백업해 두고 펌웨어 포팅을 진행하였다.
<<아래 이어지는 과정은 갤럭시 노트3 해외판(N9005) 32GB모델로 진행되었습니다.
또, 현재 사용 중인 기기의 CSC에 따라 별도의 PIT파일이 필요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알아본 바에 따르면 KNOX Warranty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
#1. 준비물
올리려는 펌웨어, Odin, 삼성 통합 USB드라이버
#2. 과정안내
1) N9005의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한다. 기기가 꺼져있는 상태에서 "볼륨 아래 + 홈 버튼 + 전원"을 눌러 기기를 부팅시킨다. 곧 화면에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려면 볼륨 위 키를 누르라(Volume up : Continue)'는 메시지를 띄운다. 하라는 대로 진행한다.
2) 다운로드 모드 진입 후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한다. 그리고 ODIN을 실행시킨다.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었다면 좌측 상단에 [COM #]에 불이 들어온다.
만약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 다음을 확인한다.
ⅰ) KIES가 실행 중이라면 종료한다. 우측 하단 트레이에서 실행 중인지도 확인해서 확실하게 종료해 주자.
ⅱ) 삼성 통합 USB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자.
3) Odin에 기기가 정상적으로 로딩이 되었다면 기기에 올려 줄 펌웨어를 지정해 줘야 한다. PDA / PHONE / CSC 버튼을 클릭하고, 기기에 올릴 펌웨어를 지정해 준다. 모두 같은 파일이다.
기기의 CSC와 같은 CSC의 펌웨어를 올린다면 PDA / PHONE 정도만 올려도 무방하다. 하지만 기기의 CSC와 다른 CSC의 펌웨어를 올린다면 CSC까지 지정해 줘야 한다. 그래야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기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
4) 3)의 과정이 마무리되면 'Start' 버튼을 클릭하여 펌웨어를 올린다. 시간이 좀 걸린다.
5) 펌웨어가 정상적으로 올라갔다면 아래처럼 'PASS' 메시지가 뜬다. 기기를 컴퓨터와 분리하면 기기가 재부팅된다. 기기의 CSC와 동일한 CSC를 가진 펌웨어를 올렸다면 여기에서 마쳐도 좋다.
6) CSC가 다른 펌웨어를 올렸다면 다음의 조치를 추가로 진행해 준다. 최초 재부팅 시에는 CSC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공장초기화가 필요하다. 기기가 재부팅되고 난 후 공장초기화를 1~2회 진행해 주자. 공장초기화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ⅰ) 기기가 꺼진 상태에서 "볼륨 위 + 홈 버튼+ 전원"을 동시에 꾹~ 눌러준다.
ⅱ) 볼륨 위/아래 버튼을 이용해 메뉴에서 "wipe date/factory reset"으로 이동하고, 전원 버튼으로 선택해 준다.
ⅲ) 진짜 할꺼냐고 묻는데 수 많은 No 중에서 Yes를 찾아 같은 방법으로 선택해 준다.
ⅳ) 통상적으로 1~2회 진행하면 CSC가 정상적으로 변경이 된다. 안된다면, 될 때까지.
7) 확 달라진 롤리팝을 즐긴다.
#3. 위기상황 조치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기 전, 현재 사용 중인 기기의 CSC와 동일한 CSC를 갖고 있는 순정 펌웨어를 확보해 두고 진행하자. 업그레이드 진행 간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이 순정 펌웨어를 이용해 복구할 수 있다. http://www.sammobile.com의 firmware 메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KIES3의 응급복구를 통해서도 복구가 가능하니 필요에 따라 활용하면 된다.
#4. 참고 자료
http://eteris.tistory.com/129
'관심있는 것 _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노버, 슈퍼피쉬 제거 툴 제공 (0) | 2015.02.21 |
---|---|
레노버, 그리고 슈퍼피쉬 (2) | 2015.02.20 |
Lenovo E440 20C500AKKD 구매 (0) | 2015.02.18 |
삼성 갤럭시 노트3(N9005) 롤리팝 후기 (0) | 2015.02.16 |
Code Academy (0) | 2015.02.13 |